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부동산 전망] 2023 하반기 주택시장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파트너 댓글 0건 작성일 23-07-31 17:03

본문

모기지 금리가 계속해서 높아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판매가 감소하며 주택 가격까지 내려가는 조짐을 보이면서 주택시장에 불확실성이 퍼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를 망설이게 하고 있다. 

7월 초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다시 7퍼센트에 가까워졌다. 부동산중개사협회(NAR)의  최근 기존주택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주택 판매는 지난 봄 이후로 20퍼센트 이상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모기지 금리, 주택 가격, 구매자 경쟁, 주택 공급, 판매 활동, 주택 가격 등이 올 하반기에 어떤 방향성으로 갈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예측과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으며 실제로 금리가 훨씬 더 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동산 웹사이트 Awning의 데니스 쉬르쉬코브(Dennis Shirshikov)는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전반적으로 높은 이자율, 잠재적인 경기 침체, 그리고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30년 및 15년 모기지 금리는 2023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단기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 두 금리는 점점 더 가까워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2023년 30년 및 15년 기준 모기지 대출이 각각 평균 8.75% 및 8.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Creighton University의 Heider 경영 대학교의 금융 교수인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 역시 비슷한 의견을 피력했다. 존슨은 “연말까지 30년 및 15년 모기지 금리가 각각 8.50% 및 7.70%정도가 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희망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부동산 컨설팅 회사 CJ Patrick Company의 창립자이자 CEO인 릭 샤르가(Rick Sharga)는 올해 중반 30년 및 15년 대출금에 대한 이율이 각각 약 8% 및 7.25%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적으로 내려가 올해 말에는 약 6.0% 및 5.25% 범위에서 유지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디아 에반젤로(Nadia Evangelou) 부동산 중개인협회(NAR)의 수석 경제학자 겸 부동산 연구 담당 국장은 연방준비제도의 앞으로의 행보에 따른 올 하반기에 대한 세 가지 잠재적 모기지 금리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시나리오 1 : 인플레이션이 계속 높게 유지되어 연방준비제도가 이자율을 계속 인상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모기지 금리가 계속 상승하여 8.5 퍼센트 근처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2 : 소비자가격지수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에 더욱 반응하고 인플레이션의 점진적인 감속이 발생하여 모기지 금리가 7 퍼센트에서 7.5 퍼센트 근처에서 안정화된다.

시나리오 3 :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계속 올리고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지게 된다. 이는 금리가 5 퍼센트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반젤로는 세 시나리오는 모두 주택 판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인데 모든 경우에 판매는 줄어들 것이며 다만 얼마나 줄어들 것인가에 대한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시나리오 1은 높은 이자율로 인해 내년에는 주택 판매가 1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시나리오 2는 주택 판매가 7%에서 8% 감소한다. 시나리오 3은 주택 활동이 15% 이상 더 감소할 수 있다.” 고 덧붙였다. 

 

주택 가격은? 

전문가들은 구매자들에게 주택가격의 급락을 기대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에반젤로는 올해 하반기에 주택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가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모기지 금리의 의미 있는 하락이 있다면 구매자들에게 미치는 부담을 약간 완화시키는 정도라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가격이 많이 내린 곳은 과열되었던 지역들에 불과하다. 부동산회사 레드핀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두 자릿수 감소를 보인 시장은 이전의 핫스팟인 오스틴(전년 대비 17.8% 하락), 오클랜드(16.3% 하락), 샌프란시스코(13.1% 하락), 라스베이거스(11.4% 하락) 등 이였다.

 

주택 재고량은? 

지난 몇 년 동안 주택시장의 열기를 부추긴 요인 중 하나는 주택 공급부족이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2023년 주택 재고량 전망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샤르가는 “2008년 주택 시장 붕괴 전에는 재고량이 13개월 분량으로 정점에 이르렀는데, 이는 건강한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수량의 두 배였다.”면서 “최근에는 약 3개월 분량의 재고량인데 이는 필요로 하는 양의 절반이다. 현재 주택 소유자들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3%의 모기지를 7% 이자율의 새 주택으로 바꾸지 않을 것이므로 기존의 주택 재고는 계속해서 부족할 것이다. 그리고 신규 건설로 인한 공급량의 큰 증가도 바로 가능하진 않다.” 말했다.

공급량이 적어도 약간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전문가도 있다. 존슨은 “시장의 회복을 기대하며 기다리는 많은 주저하는 판매자들이 곧 항복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주택 공급량은 늘어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미국 주택건설자협회(NAHB)에 따르면 실제로 신축 주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주택 공급 부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NAHB 데이터에 의하면 5월에는 163만채의 단독주택이 착공되었고 이는 11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NAHB 회장인 알리시아 휴이는 6월 성명에서 “건설업자들이 충족되지 않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을 늘렸기 때문에 5월에는 단독주택 허가와 착공이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구매자 시장? 판매자 시장? 

지난 2년 동안은 확실한 판매자 시장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매자들이 다시 일부 지위를 회복하는 지역도 있다. 2023년 하반기는 구매자와 판매자, 누구에게 더 유리할까?

한 전문가는 “가격 부담과 경제적 우려로 인해 주택 구매자의 수요가 줄어들고 판매 가능한 주택의 재고는 여전히 제한적일 것이다. 따라서 한쪽으로 치우치기보다는 균형 잡힌 시장이 계속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시장 유형에 따라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팬데믹 기간 재택 근무로 인해 교외의 큰 주택을 선호하는 등 주택 시장에 변화가 있었고, 기업들이 사무실로 복귀했기 떄문에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대가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2023년 하반기 주택 시장에 대한 큰 그림에서 보면 불확실성을 보이는 전환기일 것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다.

미지근한 수요와 판매 가능한 재고가 제한된 상황에서 부진할 것이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의미있게 하락할 수 있다. 그러나 주택 시장의 공급과 수요가 정상화되면서 이자율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는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차입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은 계속 기다려야 할 것이다.

샤르가는 만약 주택담보대출금리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면 차입자들은 구매 대출을 더 적게 추구하고 이자율 기반의 대출 활동이 계속 감소하는 모습을 볼 것이다.”라고 지적한다. “더 많은 주택 소유자들이 머무르게 되면 연간 주택담보대출과 주택담보신용라인에서 약간의 증가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2023년에 이사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리모델링이 대세일 수도 있다.” 그는 말했다.

 

부동산파트너 편집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팬데믹 이후의 경제 회복 속에서 미국은 전 세계 주요 국가 중 가장 탄탄한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23년과 2024년, 시장 곳곳에서 경기침체(Recession)를 경고했지만 그때마다 미국 경제는 의연히 버텨냈다. 고용은 꾸준했고, 소비자 지출은 멈추지 않았다. 연…
    리빙트렌드 2025-07-03 
    학생 한 명 한 명의 가능성에 집중하며 ‘진짜 교육’을 지향하는 학원이 있다. 북텍사스를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고 있는 트루에듀케이션(True Education, 대표원장 Jay Kim) 이야기다. 현재 코펠 지점을 운영 중인 제임스 경(James Kyu…
    리빙트렌드 2025-07-03 
    물론 당신의 침구가 깨끗해 보일 수는 있지만, 실제로 깨끗할까? 청소 전문가 로빈 머피(Robin Murphy)에 따르면, 먼지는 가구나 다른 표면 위에 쌓이듯 침대 위에도 쌓인다. 당신의 침구가 깨끗해 보이더라도, 그것은 조용히 당신이 자고 싶지 않은 것들을 모으…
    리빙트렌드 2025-07-03 
    끝없이 펼쳐진 황야, 수백만 년의 시간이 깃든 바위, 그리고 생명이 숨 쉬는 야생의 풍경. 이 모든 것이 텍사스 안에 있다. 사진작가 케니 브라운(Kenny Braun), E. 댄 클레퍼(E. Dan Klepper), 앤드루 R. 슬래이튼(Andrew R. Slat…
    리빙트렌드 2025-07-03 
    미국 부동산 시장이 긴 침체 국면 속에서도 서서히 회복의 실마리를 보이고 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렌스 윤은 올해 하반기부터 기존 주택 거래가 살아나고, 2025년에는 중위가격이 3%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기지 금리가 연말까지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Residential Real Estate News  북텍사스 부동산은 한창 개발 중맥키니(McKinney)에 또 하나의 대형 마스터 플랜 커뮤니티가 들어설 예정이다. 개발명은 ‘헌팅턴 파크(Huntington Park)’. 총 786에이커에 이르는 대규모 부지에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맥키니, 3억 2,400만 달러 규모‘JW 메리어트 리조트’ 유치 - 최대 1,800만 달러 세금 환급 제공급성장 중인 텍사스 맥키니(McKinney)에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3억 2,400만 달러 규모로 계획된 'JW 메리어트 리조트 맥키니 크레이그 랜치…
    부동산파트너 2025-07-03 
    2025년 여름, 인테리어는 더 이상 기능적이거나 실용적이라는 단어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제 우리는 공간 안에 나만의 철학을 담고, 자유로운 감각을 그려낸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이 주목한 올여름의 키워드들을 모았다. 이제 집은 또 하나의 퍼스널 갤러리이며, 당신의…
    부동산파트너 2025-07-03 
    이번 7월호에서 소개할 새 단지는 알렌(Allen)에 위치한 ‘The Avenue’다. 알렌 학군에 속한 핵심 지역으로, 121번 하이웨이에서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맥키니(McKinney), 프리스코(Frisco)와 경계에 있는 핫 로케이션에 자리하고 있다.DFW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집값 상승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지난 몇 년간 주택 시장은 상당히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많은 예비 주택 구매자들이 기회를 기다리며 시장 진입을 망설여 왔다.이제 전통적인 주택 구매 시즌 중반에 접어들면서 시장 상황은 다소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택 구입 여력…
    부동산파트너 2025-06-06 
    텍사스 주택 시장 공급 폭증 … 매도자에겐 악재, 매수자에겐 기회텍사스 전역에서 매물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다. 휴스턴 부동산중개협회(HAR)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갤버스턴 지역 신규 매물은 828건으로, 직전 분기 500여 건에서 크게 늘었다. 휴스턴 광역권의 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이륙 준비 완료” - 맥키니 시, 7,200만 달러 규모 공항 확장안 최종 승인텍사스 맥키니(McKinney) 시가 약 7,200만 달러 규모의 공항 확장 프로젝트를 최종 승인했다. 시의회는 5월 7일 상업 여객 서비스를 위한 신규 여객 터미널 건설을 포함한 예산안과…
    부동산파트너 2025-06-06 
    2024년 겨울, 로스앤젤레스 외곽의 고급 주택지 팰리세이즈에 살던 부동산 중개인 클레어 오코너는 충격적인 전화를 받았다. 보험사로부터 자택 화재보험이 해지됐다는 통보였다. 그녀는 당시 남편에게 이렇게 말했다. “설마 우리 집이 불타겠어? 그 전에 수십 채가 더 타야 …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커피 테이블 위에 아무것도 두지 않는 것은 멋진 인테리어를 시도할 절호의 기회를 놓치는 것과 같다. 사실 커피 테이블은 거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공간에 적절한 커피 테이블 장식 아이디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물건들을 올려야 할까? 또 얼마나 많이 것들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올해 들어 주택 매매의 거래량과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이며, 빌더의 지속적인 뉴홈 공급이 과잉되면서 마켓이 바이어쪽으로 기우는듯 보인다. 진지한 바이어라면 이 때를 활용하여 내 재정상태를 정비하고 매물들의 정확한 정보 및 인센티를 알아보아 누구보다 발빠르게 움…
    부동산파트너 2025-06-06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