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매거진

[부동산 전망] 주택시장 냉각, 집 살 때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부동산파트너 댓글 0건 작성일 22-07-01 16:00

본문

28년만의 최대폭 금리인상을 단행한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자이언트 스텝 이후 주택시장에도 큰 변화가 보이고 있다. 

아직은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팔려는 사람들보다 많아 주택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상승폭이 크게 둔화됐으며, 주택 모기지 이자율은 급등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주택 모기지 신청은 급감하며, 주택 거래도 급속도로 냉각되는 모양세다. 

주택담보대출업체인 프레디(Freddie Mac)의 발표에 따르면 6월 중순 30년 만기 모기지 고정금리가 5.78%를 기록해 지난 2008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모기지 평균 금리가 한 주 만에 무려 0.55%포인트 급등한 것이고, 이러한 주간 상승폭은 1987년 이후 최대였다. 

이같은 모기지 금리 급등은 주택시장의 온도에 급격한 변화를 주고 있다. 프레디 맥의 샘 케이터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주택 모기지 금리가 급격히 올랐다”며 “모기지 금리 상승은 팬데믹 기간에 달아오른 주택 시장의 열기를 식힐 것”이라고 예상했다.

모기지은행협회(Mortgage Banker’s Association)에 따르면 6월 중순 기준 주간 주택 모기지 신청 규모는 2021년 같은 기간보다 20.5%가 감소했고, 지난해 최고치보다는 40%가 줄었다. 

프레디 맥의 수석이코노미스트 렌 키퍼는 “모기지 신청 규모의 감소는 2006년 이후 가장 의미심장한 움직임이다. 지난해 미국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모기지 원리금 상환액은 35%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국 민간 부분의 임금 상승률은 4.8%에 머물렀다. 이것은 미국의 주택 가격 상승에 따른 모기지 대출 규모의 증가와 금리 상승에 따른 것으로 이런 상황에서 주택 마련은 어렵다”라고 밝혔다.

올해 5월에 미국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한 미국인은 모기지 평균 금리가 3% 수준이었던 지난해 5월과 비교해 매달 모기지 비용을 740달러 더 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주택가격 상승과 모기지 이자율 급등, 이에 따른 모기지 월상환 부담 가중이 겹치면서 주택 구입에 한발 물러설 수 밖에 없는 분위기가 된 것이다.

주택시장의 찬바람은 신규 착공에서도 확인된다. 5월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155만건으로 전월보다 14.4% 감소했다. 

전문가 전망치(169만건)에 못 미쳤고, 감소 폭이 코로나 초기인 2020년 4월 이후 가장 컸다. 향후 주택 시장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5월 신규 주택 허가 건수 역시 전월보다 7% 감소했다. 

전미주택건설업협회의 6월 주택시장지수는 67로 2020년 6월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블룸버그는 이같은 주택시장 통계가 주택건설 시장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주택 모기지 금리 급등으로 압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고가 주택시장에서도 거래량은 확연히 줄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동산 중개업체 레드핀을 인용해 지난 2~4월 시장 가격 상위 5% 내인 고가주택 거래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지역별로는 뉴욕주 나소카운티(-43.5%),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35.1%), 텍사스주 달라스(-33.9%), 오스틴(-33%),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32.8%)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뉴욕 맨해튼에서 고가주택 거래를 전문으로 하는 한 중개사 역시 WSJ에 작년 말 고가주택 거래량은 2006년 이후 최대 규모였으나 올해 5월부터 급감하기 시작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올 들어 고강도 긴축이 글로벌 증시를 짓누르며 경기침체 우려가 높아지자, 부동산 시장에 여파를 미칠 것을 우려한 매수자들이 고점에 발목 잡힐 것을 우려하며 주택 구입을 꺼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주택 중개사는 고가주택의 경우 금리에 개의치 않는다면서도 금융시장의 조정이 결국 부동산시장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레드핀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대릴 페어웨더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주택시장이 악화하고 있다는 그림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부동산 전문 리얼터 닷 컴은 올 한해 주택판매가 당초 6.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가 6.7% 하락 할 것으로 정반대로 수정해 급격한 상황변화를 알리고 있다. 

한편 부동산 회사들이 대량 해고에 나서 레드핀은 전체의 8%인 470명, 컴패스는 10%인 450명을 감원 한다고 발표하는 등 부동산 업계의 해고 태풍까지 몰아치고 있다  

연준에서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당분간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함에 따라 앞으로 주택 모기지 금리는 인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기지 금리 상승은 월 페이먼트의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주택 구입자들은 예산에 맞춰 구입할 주택의 규모를 줄이게 될 것이고 이로인해  2000Sf 이하의 비교적 낮은 가격대 주택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집을 사고자 하는 수요가 모기지 금리 인상으로 주춤하게 되면서 렌트 시장으로 몰릴 가능성이 커졌고, 이는 렌트비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모기지 금리인상으로 수요가 줄면서 집값 상승세도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팬데믹 기간 웃돈까지 얹어 거래된 뜨겁던 주택 시장과 달리 주택 판매자들은 더이상 웃돈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주택 시장의 과열은 급냉각되고 있는 모양새이지만 아직 바이어 마켓은 아니다. 

주택 모기지 금리 인상으로 집을 팔은 후 이사갈 집을 찾는 것이 부담이 되어, 주택 시장에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금 집을 사야할 것인가?

주택 가격은 둔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텍사스 지역은 테슬라, 오라클, HP, 삼성 등 굴지의 기업들이 본사를 이전하거나 대규모 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을 하고 있어 인구 유입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인구 유입은 주택 수요를 창출하고 수요의 지속적 증가는 주택 가격을 떠받쳐 주게 된다. 

또한 경기침체기에는 부동산이 안전 자산으로 평가된다. 2020년 12월 주택 모기지 금리가 2.68% 까지 내려가 역사상 최저를 기록한 후 최근 급격하게 상승해 여파가 크고 무척 높은 것으로 인식되지만, 역사적으로 미국의 평균 모기지 금리는 8% 대이며 1981년 10월에는 모기지 금리가 18.45%까지 치솟은 적도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주택 가격 상승세가 멈출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포춘(Fortune)은 주택시장이 2006년 이후 가장 주목할 만한 위축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마크 잔디(Mark Zandi) 무디스 애널리틱스(Moody’s Analytics)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포춘과의 인터뷰에서 “이 변화는 부풀어 오를 대로 부풀어 오른 주택시장의 교정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고 있다. 20.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연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앞으로 1년 동안은 0%에 머물 것이다”라고 말했다. 잔디는 “모기지 대출금리의 상승은 연준의 계획에 따른 것이다. 최근 모기지 대출 신청의 감소는 주택 버블 붕괴의 신호탄이 됐던 2006년의 모습과 유사하다. 최근 모기지 대출 감소는 부실 대출이 많았던 2008년 상황과는 다르지만 일부 가격이 크게 오른 지역에서 주택 가격은 앞으로 1년 동안 5~10%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경험했듯이 예상치 못하는 변수들이 갑자기 등장해 전문가들의 전망을 무색하게 할만큼 상황이 급변하기도 하는 것이 작금의 시대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겸손하고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때이다.

 

부동산 파트너 편집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트렌드 매거진 카테고리

트렌드 매거진 목록
    팬데믹 이후의 경제 회복 속에서 미국은 전 세계 주요 국가 중 가장 탄탄한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23년과 2024년, 시장 곳곳에서 경기침체(Recession)를 경고했지만 그때마다 미국 경제는 의연히 버텨냈다. 고용은 꾸준했고, 소비자 지출은 멈추지 않았다. 연…
    리빙트렌드 2025-07-03 
    학생 한 명 한 명의 가능성에 집중하며 ‘진짜 교육’을 지향하는 학원이 있다. 북텍사스를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고 있는 트루에듀케이션(True Education, 대표원장 Jay Kim) 이야기다. 현재 코펠 지점을 운영 중인 제임스 경(James Kyu…
    리빙트렌드 2025-07-03 
    물론 당신의 침구가 깨끗해 보일 수는 있지만, 실제로 깨끗할까? 청소 전문가 로빈 머피(Robin Murphy)에 따르면, 먼지는 가구나 다른 표면 위에 쌓이듯 침대 위에도 쌓인다. 당신의 침구가 깨끗해 보이더라도, 그것은 조용히 당신이 자고 싶지 않은 것들을 모으…
    리빙트렌드 2025-07-03 
    끝없이 펼쳐진 황야, 수백만 년의 시간이 깃든 바위, 그리고 생명이 숨 쉬는 야생의 풍경. 이 모든 것이 텍사스 안에 있다. 사진작가 케니 브라운(Kenny Braun), E. 댄 클레퍼(E. Dan Klepper), 앤드루 R. 슬래이튼(Andrew R. Slat…
    리빙트렌드 2025-07-03 
    미국 부동산 시장이 긴 침체 국면 속에서도 서서히 회복의 실마리를 보이고 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렌스 윤은 올해 하반기부터 기존 주택 거래가 살아나고, 2025년에는 중위가격이 3%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기지 금리가 연말까지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Residential Real Estate News  북텍사스 부동산은 한창 개발 중맥키니(McKinney)에 또 하나의 대형 마스터 플랜 커뮤니티가 들어설 예정이다. 개발명은 ‘헌팅턴 파크(Huntington Park)’. 총 786에이커에 이르는 대규모 부지에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맥키니, 3억 2,400만 달러 규모‘JW 메리어트 리조트’ 유치 - 최대 1,800만 달러 세금 환급 제공급성장 중인 텍사스 맥키니(McKinney)에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3억 2,400만 달러 규모로 계획된 'JW 메리어트 리조트 맥키니 크레이그 랜치…
    부동산파트너 2025-07-03 
    2025년 여름, 인테리어는 더 이상 기능적이거나 실용적이라는 단어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제 우리는 공간 안에 나만의 철학을 담고, 자유로운 감각을 그려낸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이 주목한 올여름의 키워드들을 모았다. 이제 집은 또 하나의 퍼스널 갤러리이며, 당신의…
    부동산파트너 2025-07-03 
    이번 7월호에서 소개할 새 단지는 알렌(Allen)에 위치한 ‘The Avenue’다. 알렌 학군에 속한 핵심 지역으로, 121번 하이웨이에서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맥키니(McKinney), 프리스코(Frisco)와 경계에 있는 핫 로케이션에 자리하고 있다.DFW …
    부동산파트너 2025-07-03 
    집값 상승과 높은 모기지 금리로 인해 지난 몇 년간 주택 시장은 상당히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많은 예비 주택 구매자들이 기회를 기다리며 시장 진입을 망설여 왔다.이제 전통적인 주택 구매 시즌 중반에 접어들면서 시장 상황은 다소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택 구입 여력…
    부동산파트너 2025-06-06 
    텍사스 주택 시장 공급 폭증 … 매도자에겐 악재, 매수자에겐 기회텍사스 전역에서 매물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다. 휴스턴 부동산중개협회(HAR)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갤버스턴 지역 신규 매물은 828건으로, 직전 분기 500여 건에서 크게 늘었다. 휴스턴 광역권의 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이륙 준비 완료” - 맥키니 시, 7,200만 달러 규모 공항 확장안 최종 승인텍사스 맥키니(McKinney) 시가 약 7,200만 달러 규모의 공항 확장 프로젝트를 최종 승인했다. 시의회는 5월 7일 상업 여객 서비스를 위한 신규 여객 터미널 건설을 포함한 예산안과…
    부동산파트너 2025-06-06 
    2024년 겨울, 로스앤젤레스 외곽의 고급 주택지 팰리세이즈에 살던 부동산 중개인 클레어 오코너는 충격적인 전화를 받았다. 보험사로부터 자택 화재보험이 해지됐다는 통보였다. 그녀는 당시 남편에게 이렇게 말했다. “설마 우리 집이 불타겠어? 그 전에 수십 채가 더 타야 …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커피 테이블 위에 아무것도 두지 않는 것은 멋진 인테리어를 시도할 절호의 기회를 놓치는 것과 같다. 사실 커피 테이블은 거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공간에 적절한 커피 테이블 장식 아이디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어떤 물건들을 올려야 할까? 또 얼마나 많이 것들을…
    부동산파트너 2025-06-06 
    올해 들어 주택 매매의 거래량과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현상을 보이며, 빌더의 지속적인 뉴홈 공급이 과잉되면서 마켓이 바이어쪽으로 기우는듯 보인다. 진지한 바이어라면 이 때를 활용하여 내 재정상태를 정비하고 매물들의 정확한 정보 및 인센티를 알아보아 누구보다 발빠르게 움…
    부동산파트너 2025-06-06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