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학

[알아두면 유용한 식품상식] 갈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건강의학 댓글 0건 조회 2,601회 작성일 22-02-18 11:40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의 주제는 오랜만에 수산물     ‘갈치’로 정했습니다. 인간의 기술의 발달하고 현재와 같이 양식업계가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 시대에 자연산 식품은 우리에게 아주 소중합니다.

 

인구는 많아지고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 자연스럽게 우리가 예전에 흔히 보던 자연산 식품들은 서서히 고갈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다에서 나오는 먹거리가 아주 많은데 오늘 소개할 갈치도 그 중 하나입니다. 

 

갈치는 고등어와 더불어 한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생선 중 하나입니다. 갈치라는 이름의 유래는 칼을 닮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입니다.

 

한문으로도 갈치는 ‘刀魚(도어)’입니다. 그런데 왜 ‘칼치’라고 부르지 않고 ‘갈치’라고 할까요? 그 이유는 신라시대에 ‘칼’을 ‘갈’로 발음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발음이 현재까지  내려와서 ‘칼치’가 아닌 ‘갈치’라는 표준어가 생긴 것입니다. 물론 아직도 ‘칼치’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습니다만, 굳이 따지자면 ‘갈치’라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아시다시피 갈치는 은색빛을 띄며 반짝반짝 빛나는 아주 특이하고도 나름 근사하게 생긴 어종입니다. 하지만 그 세련된 자태와는 다르게 성격이 난폭하고 급하며 먹이가 나타면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잡식 및 육식성 어류입니다. 육식성 어류답게 날카로운 송곳니가 발달했으며 육식성 포유류들과 비슷하게 야행성입니다. 그렇기때문에 갈치 조업도 밤에 하는 것 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지역이 갈치낚시를 많이 하는 걸프해역인데, 갈치낚시에 대해서는 정확이 모르겠습니다만 이야기를 들어보니 갈치낚시는 미끼가 없어도 반짝거리는 낚시바늘만 바다에 넣으면 갈치가 바로 문다고 하는데 그 사실 여부는 제가 다음번에 꼭 직접 가서 체험을 하고 오겠으며, 그 후기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갈치 대부분은 직접 낚시를 하지 않은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등 수입산입니다. 한국에서 수입도 합니다. 한국에서 오는 것도 미국에서는 수입산이지요. 

 

간혹 한국산 갈치를 막연히 더 선호하는 분들도 있는데 사실상 더 중요한건 원산지가 아닌, 잡는 방식에 따라서 ‘은갈치’로 불리는가 또는 ‘일반갈치(먹갈치)’로 불리는가가 더 중요합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서 종자가 약간은 다릅니다만 어획방법에 따라서 그물로 잡는지 낚시대로 잡는 지, 그리고 선동인지 또는 육동인지에 따라서 갈치의 품질을 논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합니다.

 

참고로 제주도산으로 유명한 은갈치는 낚시바늘로 한 마리씩 올리기 때문에 몸에 상처 하나 없고 반짝반짝해서 은갈치란 말이 붙었습니다.

 

은갈치는 구아닌 성분의 비늘이 선도저하를 막아주면서 갈치를 더욱 더 빛나게 해줍니다. 그만큼 상품성이 좋고 가격도 비싼 것입니다. 은갈치는 보다 더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영양성분은 먹갈치와 비슷합니다. 

 

그리고 일반갈치(먹갈치)는 수심 깊은 바다에서 자망으로 대량조업한 갈치를 말합니다. 아무래도 대량조업이다 보니 그물에 치이고 쓸려 상처가 많고, 은비늘이 벗겨지면서 몸이 검게 되기 때문에 먹갈치라 부르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모두 같은 종류입니다. 

 

갈치는 좋은 효능들이 있습니다. 필수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등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오장의 기운을 돋우고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어 소화가 잘되게 해줄뿐 아니라 식용증진에 좋습니다. 또한 골다공증 예방에도 좋은데, 그 이유는 칼슘, 인, 나트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무기질의 보충제로 뼈나 근육을 튼튼하게 해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음식은 물론, 성장기 어린이에게 아주 훌륭한 식품입니다.

 

간혹 수은 등 갈치의 부작용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수은의 느낌이 은색비늘과 비슷해서 생긴 오해라고 합니다. 어류의 수은은 먹이사슬에 의해 축적되기 때문에 최종 포식자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즉, 상어와 같은 최종 포식자에게 나타나는 것이죠.

 

위에서 잠깐 말했지만 갈치도 분명 난폭하고 잡식이며 포식자는 맞기 때문에 수은이 미량 함유되어 있을 수는 있으나, 우리 식탁에 오르는 생선 수준으로 우리 몸에 해를 끼칠 정도는 아닙니다. 

 

물가가 많이 오르지만 갈치와 같은 생선들은 그래도 큰 폭으로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생선요리는 조금 번거롭지만 우리에게 좋은 영양분을 공급하니 많은 성원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 mart 이주용 차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역류성 식도염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위장질환입니다. 하지만 이 흔한 위장질환이 척추의 상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척추 중에서도 등 가운데에 해당하는 흉추는 위장을 포함해 흉부 안쪽에 위치한 장기들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이…
    건강의학 2022-06-03 
    여름에 즐겨 먹는 음식 중에 냉면을 빠뜨리면 섭섭합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슴슴한 맛에 중독되면 헤어나올 수 없는 평양냉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한국에서는 3대 평양냉면이니, 5대 평양냉면이니 하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많은 매니아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충동의 …
    건강의학 2022-06-03 
    오늘은 더워진 날씨에 시원함과 달콤함을 선사해 주는 아이스크림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우선 인류 최초의 빙과류 라고 할 수 있는 샤베트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기원은 고대 중동지방에서 천연의 눈에 과즙이나 감미료를 섞어 먹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어원…
    건강의학 2022-05-20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서 생활하던 것들 중에서 이유를 물어보면 대답하기 곤란한 것들이 꽤 있습니다. 배에서 꼬르륵 거리는 소리는 왜 나는 걸까?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 등등 정말 많은 것들이 떠오르는데요. 음식으로 시선을 돌려서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우유는 왜 흰색일까요…
    건강의학 2022-05-13 
    척추는 여러 개의 척추뼈가 길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척추뼈들 사이에는 디스크라는 연골조직이 있습니다. 이 연골조직들은 척추뼈들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척추뼈들 사이의 공간을 유지시켜 척추가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만약에 척추뼈…
    건강의학 2022-05-06 
    오늘은 우리가 일상 생활과 업무로 지칠때 힘이 되어주는 성분, 카페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우선 카페인은 차, 커피 및 카카오 식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천연 자극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페인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커피’의 ‘Coffe-’에 알칼로이드(ami…
    건강의학 2022-05-06 
    안녕하세요! 오늘의 주제는 ‘사케’입니다.  일단 ‘사케’란 단어의 뜻은 정확히 무엇일까요? 사케는 일본어에서 酒(술 주) 자를 훈독 즉 본인들 발음대로 부른 것으로 사케=’일본의 모든 술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케는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본 …
    건강의학 2022-04-29 
    오늘은 가정에서 음식을 조리할때 빠지지 않고 사용하게 되는 식용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마트 식용유 코너 앞에 서게 되면 다양한 제품과 종류로 어떤 식용유를 고를지 선택의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식용유는 넓은 의미로는 식물과 동물에서 짜낸 식용 가능…
    건강의학 2022-04-22 
    오늘은 세상에서 가장 큰 과일 잭 푸르트(Jack Fruit)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막상 ‘잭 푸르트’라고 하면 그 이름이 생소하신 분들도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잭푸르트는 한국인이 그다지 즐겨먹는 과일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마도 여러분들이 마트에…
    건강의학 2022-04-15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벌써 2022년의 1/4이 지난 4월입니다. 며칠 전 퇴근후 집앞 우편물을 가지러 가던 중 나무를 보니 조그맣지만 파릇파릇한 새싹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잠시나마 싱그러운 봄의 기운을 느꼈습니다.  오늘은 점점 더워지는 날씨에 어울리는 대표적인…
    건강의학 2022-04-08 
    카이로프랙틱 치료라고 하면 아직 뭔가 생소하고 명확하게 어떤 것인지 설명하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과연 카이로프랙틱 치료란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기에 건강에 이런저런 도움을 주는 것일까요? 또 어떤 분은 카이로프랙틱 치료는 별로 효과도 없었고 왜 치료를 받…
    건강의학 2022-04-01 
    안녕하세요! 전체적인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일상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비교적 저렴한 ‘닭고기’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닭고기는 담백한 맛과 부드러운 육질이 특징입니다. 다른 육류와 달리 근육 속…
    건강의학 2022-04-01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과일 한 종류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포멜로(Pomelo)’라는 과일인데요, 이름만 들으면 잘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마도 이 과일을 실제로 보시면 분명 “아~ 이게 포멜로였구나!” 라고 말씀하실 것이라 짐작…
    건강의학 2022-03-25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오늘은 지난회에 이어 또 다른 건강식품 하나를 소개해보도록 하겠는데요, 한국, 외국마켓의 냉장음료 코너 혹은 건강식품 코너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는 상품 중에 콤부차(Kombucha)라는 병에 담긴 음료를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오늘은 우리에게…
    건강의학 2022-03-18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해 요즘처럼 우리 몸 건강에 예민했던 적이 있었나 싶을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들이 많아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 19 이전에도 서양마켓은 매년 꾸준히 유기농 상품의 종류와 매출이 늘고 있었으며, 이러한 현…
    건강의학 2022-03-1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