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칼럼

[김미희 시인의 영혼을 위한 세탁소] 가족사진, 다시 쓰는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문화 댓글 0건 조회 86회 작성일 25-01-31 11:34

본문

김미희 시인 / 수필가


“이 사진이 좋아? 아니면 이게 나아?” 남편은 컴퓨터 화면을 넘기며 하나하나 사진을 클릭해 보여줍니다. 맘에 드는 걸 고르라며 자꾸 보채는 모습이 참 정겹습니다. 오래전부터 파더스 데이를 가족사진을 찍는 날로 정해두었던 남편이지만, 언제부턴가 그 약속이 흐지부지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갑자기 "내 생일날 가족사진을 찍자”고 한 것입니다. 파더스 데이까지 기다릴 수가 없었던 모양입니다. 별다른 준비 없이 찍은 사진이라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몇 장 건질 만한 사진이 있어 노력한 보람은 있었습니다.


사진을 고르다 보니 자연스럽게 내 얼굴에 시선이 머뭅니다. “내 눈이 너무 처졌어. 조금만 올려주면 안 될까?” 남편 옆에 바짝 붙어 앉아 이것저것 보정해달라고 조르는 내 모습이 마치 세월과 작은 실랑이를 벌이는 듯합니다. 세월이 흘러 내 얼굴에 남긴 흔적들은 자연스럽다고 하기엔 조금 서운하고, 그렇다고 모두 지우기엔 나를 잃어버리는 것만 같아 망설여집니다. “나중에 리언이가 이 사진을 보면 할머니가 예쁜 게 낫지 않을까?” 가벼운 농담으로 추임새를 넣으며 남편을 슬쩍 설득해 봅니다. 코를 세우거나 턱을 깎는 건 무리더라도, 조금 덜 측은해 보이도록 눈가를 정리하는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진을 보고 있자니, 문득 지나온 인생도 보정이 필요할 만큼 아쉬운 순간들이 많았나 싶어 등줄기에 식은땀이 납니다. 후회스러운 결정, 놓쳐버린 기회, 더 잘할 수 있었던 일들…. 하지만 내 곁에서 건강하게 자라며 평범한 행복을 누리는 아이들을 보면 그 모든 아쉬움도 희미해집니다. 아마 그래서 사람들은 사진을 찍고 간직하는가 봅니다. 살아온 순간들을 붙잡아, 그것이 좋았든 아팠든 따뜻한 기억으로 남길 수 있으니까요.


  이번 사진은 우리 가족에게 더 특별합니다. 새 생명이 태어나고 처음으로 찍는 가족사진이기 때문입니다. 놀랍게도 이제 갓 스무 달이 된 아이는 트라이팟 위에서 깜빡이는 카메라 렌즈를 한 번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마치 네 명이던 가족이 여섯이 되어 찍는 첫 가족사진이라는 걸 알기라도 하듯이요. 한 사람 한 사람의 얼굴을 바라보면 닮은 것 같기도, 아닌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함께 웃으며 같은 곳을 바라보는 그 순간만큼은 영락없는 가족입니다. 문득 깨닫습니다. 행복이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이런 소소한 순간 속에 있다는 것을.


“최고의 사진은 가족사진이다.” 남편이 늘 하는 말입니다. 누군가의 집을 방문하면 남편은 꼭 가족사진이 있는가를 확인합니다. 가족사진은 가장 쉽게 읽을 수 있는 그 가정의 작은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가족사진은 마치 나이테처럼, 아이들이 자라는 모습을 새기고, 부모가 세월을 겪어내는 흔적을 기록합니다. 기쁨과 슬픔, 설렘과 아쉬움이 켜켜이 쌓여 하나의 역사로 남습니다. 그래서 우리 가족의 사진은 단순한 기록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 가족이 함께 써 내려가는 이야기이며,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가치가 깊어지는 보물입니다. 물려줄 큰 재산은 없지만, 함께한 시간만큼은 유산으로 남겨주고 싶다는 남편의 마음이 새삼 이해됩니다.


이른 저녁을 먹고, 아이는 할아버지와 함께 촛불을 끄고 생일 케이크를 자릅니다. 생전 처음 맛보는 케이크를 신기해하며 두 번이나 더 먹어보더니, 입맛에 맞지 않는지 작은 얼굴을 찡그립니다. 그러다 사레가 들려 얼굴이 빨개지도록 기침을 하더니, 어느새 하품을 시작합니다. 잘 시간이 되었나 봅니다. 가족들은 그 모습을 보며 소리 내어 웃습니다. 아이는 떠날 채비를 하는 기색을 눈치채고, 신발을 신더니 한 명씩 꼭 안아줍니다. 그리고 배꼽인사를 하며 오늘의 감동을 남긴 채 떠납니다. 오늘의 이 순간이, 첫 번째 가족사진 속에 영원히 남겨질 것입니다.


  벌써 새해 첫 달이 지나갑니다. 어느새 설날이 되었습니다. 인생을 살다 보면 크고 작은 선택의 순간들이 오고, 때로는 그 선택들이 버거울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진 속 오늘처럼 수수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요? 주어진 삶에 얽매이기보다는, 그 안에서 자기만의 색과 결을 만들어 가길 바랍니다. 불신과 의심이 가득한 세상에서도, 우리 가족만큼은 서로를 바라보는 눈빛만으로 정을 나누며 살아갈 수 있기를. 그리고 그 모든 순간이 사진 속 따뜻한 기억으로 남아, 언젠가 아이들이 펼쳐볼 수 있는 우리의 이야기가 되길 소망해 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문가칼럼 목록
    박운서 CPA는 회계 / 세무전문가이고 관련한 질의는 214-366-3413으로 가능하다.  Email : swoonpak@yahoo.com2625 Old Denton Rd. #508Carrollton, TX 75007트럼프 집행부의 집권초기 행보가 상상을 초월하는 수…
    세무회계 2025-03-14 
    백경혜 수필가오전 다섯 시쯤 번쩍이는 섬광과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유리창을 요란하게 때리는 빗줄기 때문에 커튼을 젖히고 밖을 살피기도 무서웠다. 커튼을 살짝 들고 빼꼼히 내다본 풍경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작달비가 쏟아지고 있었고 하늘은 천둥번개로 번쩍였다. 시…
    문화 2025-03-14 
    결과가 말해주는 명문대 입시 전문 버클리 아카데미 원장 www.Berkeley2Academy.com 문의 : b2agateway@gmail.com요즘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전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경제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가 교육청 (Department o…
    교육상담 2025-03-14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봄의 길목에 서서 바쁜 일상을 탈출하여 무심코 산과 물을 건너 자연 속으로 들어가 보자. 3월과 더불어 시골길을 걷는 것은 탄생하는 생명의 신비를 경험하며 곳곳에 숨어있는 자연의 멋을 몰래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곳곳…
    문화 2025-03-14 
    Hmart 이주용 차장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샐러드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샐러드하면 떠오르는 대표는 단연 시저샐러드 입니다. 로메인 상추와 크루통(Crouton, 튀긴 빵조각)에 파마산 치즈, 레몬즙, 계란, 마늘, 올리브오일 등으로 만든…
    문화 2025-03-14 
    버클리 아카데미  원장 제임스 서 (James Seo)UC Berkeley (Molecular Cell Biology, B.S.)UCLA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학교 수업, 숙제, EC 활동, 그 외 다양한 스케줄을 소화하면서 보통의 하…
    라디오칼럼 2025-03-08 
    엄브렐라 보험흔히 보험을 비 오는 날의 우산으로 비유한다. 갑자기 쏟아지는 비속에 우산이야 말로 정말 고마운 존재인 것처럼, 갑자기 당한 사고 보상 책임 앞에 보험이 바로 그런 것이라는 말이다. 특히  미국에서는 크든지 작든지  문제가 생기면 상대방에게 책임을 묻기 위…
    보험 2025-03-07 
    오종찬(달라스 한국문화원 원장, 작곡가)유레카 스프링스(Eureka Springs) 여행을 하면서 보는 야산을 끼고 조그맣게 형성된 도시의 아기자기함, 그리고 곳곳에 이곳의 특색을 살려 많은 관광객들을 유혹하는 이벤트들이 있지만, 산을 끼고 내려오는 수정처럼 맑은 이곳…
    문화 2025-03-07 
    공인 회계사 서윤교최근 미국 연방정부는 대규모 인력 감축을 진행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연방 공무원 인력 감축과 채용 제한을 명령하였으며 특히 근무기간이 1년 미만인 수습직원들을 대상으로 해고조치를 단행했고 이로 인해 수만명의 연방 공무원이 일자…
    세무회계 2025-03-07 
    김미희 시인 / 수필가 큰아이가 가족을 데리고 한국 처가에 다녀오는 동안, 기르던 애완견을 우리 집에 맡기고 갔다. 처음 제안이 나왔을 때 나는 선뜻 허락하지 못했다.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개와 가까이할 자신도 없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큰애는 메이…
    문화 2025-03-07 
    버클리 아카데미  원장 제임스 서 (James Seo)UC Berkeley (Molecular Cell Biology, B.S.)UCLA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미국 대학 입시에는 합격과 불합격만 있는게 아니죠. Deferred (보류)…
    라디오칼럼 2025-03-04 
    Hmart 이주용 차장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오늘은 밥도둑이라는 단어의 원조격인 게장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노르스름한 장이 담긴 게 껍데기에 밥을 비비면 다른 반찬 없이도 밥 한 공기를 뚝딱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흔히 밥도둑이라고 이야기하는데요. 게장은 …
    문화 2025-02-28 
    공학박사 박우람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지난 칼럼에서 양자 컴퓨터의 배경 원리가 되는 양자 중첩과 양자 얽힘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원자처럼 매우 미…
    문화 2025-02-28 
    박운서 CPA는 회계 / 세무전문가이고 관련한 질의는 214-366-3413으로 가능하다.  Email : swoonpak@yahoo.com2625 Old Denton Rd. #508Carrollton, TX 75007바다건너 고국에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세무회계 2025-02-28 
     박인애 (시인, 수필가)미주경희사이버대학교동문회 임원방에서 우리도 유명 강사님들을 초청하여 줌강연회를 열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왔다. 동문은 물론이고,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도 들을 수 있도록 오픈 강의로 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 줌강연은 이미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
    문화 2025-02-28 

검색